“건강하려면 하루 1만 보?”30분만 걸어도 된다
“건강하려면 하루 1만 보?”30분만 걸어도 된다
“무리하게 걸으면 오히려 운동 지속하기 어려워”
건강 장수하려면 하루 1만 보씩 걸어야 한다.”
이런 얘기를 들어본 사람이 많다. 또한 만보기(萬步機)나 만보계(萬步計)를 본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하루 1만 보 걷기’ 운동법은 일본에서 유래한 비과학적인 운동법이어서 ‘1만 보’에 집착하지 않고 매일 30분 정도만 꾸준히 걸으면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8일 ‘정말 매일 1만보가 필요한가’라는 해설 기사에서 건강 장수를 위해 하루 1만 보(8㎞ 정도)를 걸을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자 이에 편승해 이익을 보려는 한 시계 제조업체가 ‘만보계’를 대량 생산했다고 이 신문은 밝혔다.
전문가들은 만보계에서 1만을 뜻하는 ‘만(万)’ 자가 일본식 한자로 작성했을 때 사람이 걷는 모습과 비슷해 판매 촉진을 위해 만보 걷기를 홍보했을 뿐 특별한 과학적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
아이민 리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박사팀이 2019년 70대 여성 1만6,741명을 대상으로 걸음 수와 건강 상태 간 연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하루 4,400보 정도 걷는 사람은 하루 2,700보 이하 걷는 사람보다 조기 사망할 위험이 40% 정도 줄었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5,000보 이상 걷는 이들의 조기 사망 위험은 계속 떨어졌지만 건강 증진 추세는 7,500보에서 정점을 찍었다. 즉 이보다 많은 1만 보까지 걷는다고 해서 건강에 계속 유익한 것은 아니다.
지난해 3월 미국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JAMA Network)에 실린 4,840명의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하루 8,000보를 걷는 사람들이 4,000보를 걷는 사람들보다 심장 질환이나 다른 원인으로 조기 사망할 확률이 절반가량 낮아졌다.
또한, 하루 1만 보 걷기에 집착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특정 숫자를 목표로 정하고 무리하게 걸으면 운동을 지속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벨기에 겐트에서 2005년 시행한 연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에게 1년간 1만 보 이상 걸으라고 독려했지만 660명 중 8%(52명)만 이 목표를 달성했고, 4년 후 진행된 추가 연구에서 8% 가운데 아무도 만보 걷기를 지속하지 못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