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절반 “식료품값, 삶의 큰 스트레스”
AP-NORC 여론조사…BNPL(선결제 후지불)까지 이용
최근 식료품 가격 상승이 미국인들의 생활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물가가 더욱 급등하면서, 일부 소비자들은 식료품 구매를 위해 ‘Buy Now, Pay Later(후불 결제)’ 서비스까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P-NORC 공공문제연구센터가 7월 10일부터 14일까지 14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절반이 식료품 가격을 ‘매우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33%는 ‘경미한 스트레스 요인’, 14%는 ‘스트레스 요인이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특히 **연 소득 3만달러 미만의 저소득층 응답자 중 64%**는 식료품값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느끼고 있었으며, 연 소득 10만달러 이상 고소득층에서도 응답자의 80%가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통해 식료품, 외식, 배달 음식, 오락, 의료비 등을 결제한 미국인도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대 젊은층은 식료품과 외식을 포함한 다양한 생활비를 BNPL로 지불하는 비율이 고령층보다 훨씬 높았다.
BNPL은 대표적으로 Afterpay, Klarna, Affirm 등의 서비스를 의미하며, 소비자는 제품을 먼저 구매하고 이후 분할 납부 또는 일정 기간 후 결제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식료품과 생필품 가격이 장기적으로 안정되지 않으면 BNPL에 의존하는 가계가 신용 리스크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저소득층과 청년층의 경제 불안정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DHS는 사이버 공격 중 비정상적인 활동이 감지된 일부 카드에 대해 사전적으로 잠금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히며, 사용자는 ConnectEBT 앱을 통해 직접 카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정부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모든 EBT 사용자에게 PIN 번호를 즉시 변경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매월 지원금이 입금되기 전에 PIN을 바꾸는 것이 필수적이며, 온라인 구매 후에도 반드시 PIN을 새로 설정할 것을 당부했다.
이번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조지아주의 수십만 EBT 사용자들이 큰 혼란을 겪고 있으며, DHS는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해 보안 시스템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EBT 고객 서비스 관련 정보는 ConnectEBT 앱 또는 DHS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