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가 다리가 ‘저릿저릿’, 갑자기 쥐가 났다? 효과적인 대처법
자다가 다리가 ‘저릿저릿’, 갑자기 쥐가 났다? 효과적인 대처법은…/김예경 기자©헬스조선
밤에 자다가 갑자기 허벅지나 종아리에 저릿한 통증이 생기며 쥐가 날 때가 있다. 통증이 심해 잠에서 깨기도 한다.
흔히 ‘쥐’라고 표현하는 것을 의학적으로는 ‘다리 근육 경련’이라고 한다. 성인 60%가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 주로 종아리 뒤쪽 근육에서 일어나지만, 발이나 허벅지 등 하체에서부터 손가락, 어깨, 팔 등 몸 전반에 생길 수 있다. 다리 근육 경련의 원인으로는 ▲전해질 불균형 ▲근육 피로 ▲원활하지 않은 혈액순환 등이 있다. 근육 수축과 이완에 관여하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부족하면 전해질 균형이 깨져 다리 경련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과한 운동이나 음주 탓에 전해질 불균형 상태가 되곤 한다. 서서 일하거나 강도 높은 운동을 자주 해서 다리 근육을 많이 쓰는 사람도 경련이 잘 생긴다.
잘 때 유독 다리에 경련이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 ‘누운 자세’ 때문이다. 누우면 종아리 근육이 짧아져 수축한 상태가 된다. 평상시에는 근육의 ‘근방추세포’가 근육 길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뇌에 전달한다. 근방추세포는 근육 길이의 변화와 길이 변화 속도를 감지하는 세포다. 근방추세포는 근육이 조금만 더 수축하면 경련이 일어날 수 있으니 근육을 이완시키라는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수면 중엔 뇌가 신호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경련이 생긴다. 수축한 종아리 근육이 제때 이완하지 못해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요추관협착증처럼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요추관 협착증은 척추 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서 허리 통증과 다리의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요추관협착증이 원인이라면 야간 다리 경련 외에도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등 증상이 동반된다. 주로 6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한다.
자다가 다리에 경련이 나타나면 당황하지 말고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다리를 가볍게 당겨 올려준 후, 발가락을 손으로 잡고 위로 당겨서 다리를 쭉 펴고 발등을 무릎 쪽으로 당겨 구부리면 된다. 잠자기 전 스트레칭을 통해 밤에 경련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두 손으로 벽을 짚고 서서, 왼쪽과 오른쪽 발을 번갈아 뒤로 보내며 종아리 근육을 쭉 늘리면 된다.